사회적 기업을 시작하며 읽으면 좋은 책
진행자가 사회적 기업을 시작한 계기
- 여행
어릴때 부터 여행을 좋아하고 축구를 좋아하여 잔디구장이 있는 나라를 동경함
어릴때 부터 여행 계획을 세우고 동네부터 시작하여 세계를 여행하기 시작함 - 도시계획학과 (City Planning) [is NOT Civil Engineering]
어떻게 하면 더 행복한 도시를 만들까 를 고민하는 도시계획학과에서 공부
자기가 이제껏 살았던 동네 (방배) 를 발전시키는 것에 관심 – 어릴때 부터 - 장애
1% – 진행자가 보청기 없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정도
어릴때 부터 힘든시기를 겪음
청각장애인들을 배려해주는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는 미국대학에서 공부
이런 시스템 체험으로 인하여 동일한 수준의 장애인들을 위한 시스템을 한국에 도입하는 것에 관심
“나의 스토리와 사회에서 바꾸고 싶은 부분 찾기”
나의 스토리…
- 여행
인도를 처음 여행하면서 난 혜택 받는 사람이라는 것을 절실히 깨달음
반면 많은 물질이 없이도 행복해하는 북인도 사람들의 모습을 보고 감명
자본주의/자유경제 사회가 사회의 행복을 위한 만능은 아니라는 것을 체험 - 유학과 한국복귀
7년 간 영국에서 중,고등학교를 수료하고 대학교육을 체험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대학교 재학 중 한국 귀국
한국에서 대학입학 – 한국대학생들과 중고등학생들을 과외하며 그들의 모습에 안타까움
[한국에도 영국과 같은 컨셉의 교육시스템이 자리 잡혔으면…] - 경제학 & 동아시아지역학
경제학을 공부하며 얻은 이론적인 지식과 한국대학생활 당시 배운 동아시아의 지역학적인 공부를 하면서 경제성장에 있어 교육의 중요성을 깨달음
만약 행복을 중요 국가지수로 정한다면 자기가 좋아하고 잘하는 일을 할때 행복해야 한다고 생각 (명예, 부에 치중하기 보단 적성에 마춰주는 교육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
“내가 이 사회에서 바꾸고 싶은 시스템은 비효율적인 교육시스템”
창의력
Why so Difficult? – 전반적으로 특히나 우리사회는 Level of Conformity가 높음 따라서 창의력보단 대세에 따르는 추세
IDEO Case Study: How to enhance a creative environment?
Strength of IDEO:
- Multidimensional View of Problems (다양한 각도에서 문제분석)
eg) Different Majors / Professions (다른 전공분야의 전문가들이 하나의 제품개발) - Encourage to Fail BUT Quickly (실패를 장려, 다만 오랜 시간을 투자한 후 실패하는 것을 장려하지 않음)
Improve by trial and error (실행착오를 통한 개선으로 발전하는 것을 선호)
한국식의 (결제 후 실행) 모델이 아닌 (실행 후 용서) 모델 - Idea의 질 보다 양이 중요
- 엉뚱한 Idea 장려 (먼저 Boss나 높은 지위의 인솔자가 가장 엉뚱한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것이 중요 – 분위기조성)
- 남들의 Idea에 무임승차하여 지속적으로 Idea를 발전시킴
- One Conversation at a time
- Stay focused on topic
- No criticism
- More Horizontal Power Structure (수평적인 조직구조 – 의견발언이 자유롭다)
- A prototype of products can be made in a day (시제품을 하루안에 만들 수 있는 전문가와 시설 보유)
- 브레인 스토밍을 할 때 전 직원의 완벽한 몰입상태
- 현장에 직접 나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소통 (Good Observation Research Skills)
- Be visual (포스트잇을 사용하여 팀원들과 아이디어 정리)
[1강 과제]
1. A~Z 알파벳 / 숫자 사진 찍기 (5개) – 페이스북 그룹에 업로드
2. Reading
– Why to not not start a startup
– Paul Graham Essays
3. Optional Reading
– 유쾌한 이노베이션
– 이노베이터의 10가지 얼굴
4. TED Talk